top of page

조리읍 행정복지센터

읍.면.동 단위의 지역에서 주민센터와 같은 공공시설은 마을공동체를 위한 거의 유일한 커뮤니티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우리 주변의 주민센터는 빈약한 시설과 환경으로 인해 필요한 업무를 보고는 바로 떠나게 되는 공간으로 지역공동체의 구심이 되기에는 특별한 장소적 상징성이 부족하다.

ORIGAMI BOX - (주) 유한테크노스 신사옥
 

2015년 4월, 물류유통의 IT 솔루션을 제공하는 중견기업 (주)유한테크노스는 본사 사옥 신축 프로젝트를 의뢰했다. 의뢰인을 만나기 위해 문래동 아파트형 공장에 위치한 사무실을 방문했을 때, 건물의 폭과 깊이가 길고 천장고가 낮아 업무 공간 중앙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들의 업무환경이 열악해지는 아파트형 공장의 전형적인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GESTALT HEILEN, 치유의 공간

 

시설은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에 위치하며 게슈탈트 심리학(Gestalt psychology)에서 유래한 심리상담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 및 교육시설이다. 이를 위해 30~35명 정도를 수용하는 1박2일 이상의 입소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설계되었다. 심리상담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학위취득 후 지속적인 전문가과정의 이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전문시설의 필요에 의해 계획되었다.

K-bro, 케이브로 빌딩

대지가 위치한 구서동은 부산의 동북쪽 끝에 해당하는 금정구의 13개 법정동의 하나이다. 일대는 부산지하철 1호선과 노포동-서면을 잇는 주간선도로의 개발과 함께 남북방향의 선형으로 발달된 지역으로 구서역을 중심으로 상업지역과 준공업지역이 위치하고 이면도로에 면해서 오래된 주거지역이 발달되어 있다.

​남가좌동 공동체주택​

주거유형을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비슷한 유형의 집에 수직적으로 또 수평적으로 모여 살고 있는 아파트, 다른 하나는 모여살지는 않지만 각자 원하는 모양의 집에 살고있는 단독주택이 있다. 이 둘 사이 어딘가 모여살면서도 각자 원하는 모양의 집에 살고자 하는 이들이 모여 의뢰를 해왔다. 그저 맹목적으로 모여만 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시간이나 공간, 물건 등을 공유하며 살고자 한다. 

월계도서관 리모델링 

 

산책하는 도서관. 전면 파사드와 매스 사이에 새롭게 조성된 틈을 따라 방문객은 건물의 내부와 외부를 드나들며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주변 풍경과 건물 내부를 경험하며 자유롭게 산책할 수 있다. 이것은 정적인 분위기에서 책을 읽는 기존 도서관의 방식에서 진화하여 책을 발견하고 읽고 사색하는 일련의 과정을 걷고, 앉고, 머물다가 떠돌아다니는 산책의 과정과 통합함으로서 지식과 정보의 공간을 독서와 사색을 하는 경험의 공간으로 바꾸려는 제안이다.

성남역사박물관 전시동

1공단 근린공원은 과거 성남 제 1공단이라는 부지의 역사에 기초하여 성남시민의 공원으로 진화했다. 동선 중심의 공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현 공원에서 시민들이 그늘에서 문화 생활을 즐기며 지역 주민과 소통할 수 있는 머무르는 평탄한 공원을 박물관 시설물 상부에 제안했다. 성남 시민들 일상에서 조금이나마 쉴 수 있는 공원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서하재

도시한옥은 도시의 좁은 필지에 지어진 한옥이지만 집의 중심에 반듯한 안마당을 가지고 있다. 한옥의 생명력은 그 안마당에서 비롯된다. 마당을 에워싸면서 채들이 배치되는 형상에 따라 튼 ㅁ자형 한옥이나 ㄷ자형 한옥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두 유형 모두 구성의 요점은 집의 중심에 놓인 마당이다.

​신복리주택

​대지는 옥천면과 설악면을 연결하는 37번 국도가 관통하는 신복리에 위치하며 유명산(863.9m)과 이접한 대부산(743.8m)중턱 해발 250m  정도에 자리한다. 건물은 단독주택+근린생활시설(사무소) 용도로 지하1층, 지상2층, 연면적 293.04m2 규모로 경사지를 이용하여 지하 1층은 차량과 보행자를 위한 주출입구와 주차장이 위치하고 지상층은 주택과 사무소로 사용예정이다.

세곡동 성당

세곡동성당은 골조가 완료된 시점에서 내부 마감의 질을 높이고자 인테리어 설계를 통한 설계변경을 진행하였다. 설계의 주안점은 새로운 성당 공간을 구현하려는 건축계획의 의도를 살리면서 건축마감공사에서 부족할 수 있는 협업분야(기계, 전기, 통신, 소방, 음향, 성미술 등)분야와의 통합설계와 적합한 마감재의 지정을 통한 공사의 품질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미사후

 

‘미사후’로 이름한 휴게공간은 평소 북카페로 개방되고 미사후에는 신자들의 회합공간으로 이용된다. 약 36평의 공간은 책장과 화분대로 구성된 2개의 벽으로 3개의 공간으로 구분된다. 이 벽을 이용한 구분을 통해 외부로부터 동선에 따라서 셀프카페, 북라운지, 회합실순으로 공적인 공간에서 사적인 공간으로 서서히 구분되도록 하였다.
 

우신고등학교 자율학습실

동국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여자중학교
 

송곡여자고등학교
 

마리아 산탄젤로 부티끄
 

RING AROUND A ROSY, 목2동 우리동네 키움센터
 

가락중학교

재생길 Way of Re-Play

눈 앞에 노란 색 길이 강렬하게 펼쳐진다. 전시장 입구에서 시작하는 비정형의 구축물은 동굴처럼 좁은 출구로 형성되어 있다. 구조물은 바닥에서부터 날아오르듯이 비상하는 것 같다. 몸통을 약간 숙이고 계단식으로 만들어져 있는 길을 따라 가다 보면 커브를 돌아가는 곳에 영상 스크린이 설치되어 있다. 

와선루

2015년 8월 27일, 들판이 노랗게 물드는 늦여름의 어느 날, 남원루 프로젝트를 위해 남원시를 방문했다. 남원에 대해서는 춘향과 추어탕의 고장이라는 것 외에 달리 아는 것이 없이 남원시를 처음 방문한 나는 그날의 인상을 바탕으로 본 프로젝트를 진행하리라 마음먹고 아무런 사전준비를 하지 않았다. 남원역에서 내려 약속된 장소까지 달리는 차창으로 펼쳐지는 크고 작은 한옥지붕의 처마선과 완만한 산세는 이방인을 반기는 포근한 품을 내어주는 듯했다.

bottom of page